-
배치 크기(batch size)를 늘리는 방법Machine Learning 2023. 4. 4. 16:20반응형
RoBERTa 모델을 학습할 때 배치 크기(batch size)를 늘리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.
하이퍼파라미터 조정:
RoBERTa를 학습할 때 사용하는 코드나 구성 파일에서 batch_size 하이퍼파라미터를 변경하여 배치 크기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. 이렇게 변경하면 RoBERTa 모델의 학습 과정에서 한 번에 처리되는 데이터 샘플 수가 증가하게 됩니다. 예를 들어, 배치 크기를 32에서 64로 늘리고자 한다면 batch_size 값을 64로 변경해야 합니다.
그래디언트 축적 (Gradient Accumulation):
모델의 메모리 사용량에 제한이 있거나, 현재 배치 크기를 더 늘릴 수 없는 경우에는 그래디언트 축적 기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이 방법은 여러 미니 배치의 그래디언트를 축적한 후 한 번에 업데이트하는 것입니다. 예를 들어, 배치 크기를 기존의 2배로 늘리고 싶지만 메모리가 부족한 경우에는 두 번의 미니 배치를 처리한 후에 그래디언트를 업데이트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이렇게 하면 메모리 사용량을 증가시키지 않고, 원하는 배치 크기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.
그래디언트 축적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학습 코드에서 그래디언트 축적 관련 설정을 변경해야 합니다. 일반적으로 accumulation_steps 라는 하이퍼파라미터를 사용하여 그래디언트 축적 횟수를 조절합니다. 이 값을 2로 설정하면, 그래디언트가 두 번의 미니 배치 처리 후에 업데이트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.
이러한 방법들을 적용할 때, 학습 시간과 메모리 사용량의 변화에 주의해야 합니다. 배치 크기를 늘릴수록 모델의 메모리 사용량이 증가하므로, GPU 메모리가 부족해질 수 있습니다. 또한, 배치 크기가 커질수록 학습 시간이 단축되지만, 너무 큰 배치 크기는 학습의 안정성이나 최종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적절한 값을 선택해야 합니다.
accumulation_steps를 사용한 그래디언트 축적 기법을 적용한 샘플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. 여기서는 PyTorch를 기반으로 한 코드를 보여드리겠습니다.accumulation_steps를 사용한 그래디언트 축적 기법을 적용한 샘플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. 여기서는 PyTorch를 기반으로 한 코드를 보여드리겠습니다.
----import torch import torch.nn as nn import torch.optim as optim from torch.utils.data import DataLoader from dataset import CustomDataset # 가정: 사용자 정의 데이터셋 # 데이터셋 및 모델 설정 dataset = CustomDataset() dataloader = DataLoader(dataset, batch_size=16, shuffle=True) model = nn.Sequential(nn.Linear(100, 50), nn.ReLU(), nn.Linear(50, 10)) model = model.to("cuda") # 손실 함수 및 옵티마이저 설정 criterion = nn.CrossEntropyLoss() optimizer = optim.Adam(model.parameters(), lr=0.001) # 그래디언트 축적 설정 accumulation_steps = 4 # 그래디언트를 4번 축적한 후 업데이트 # 학습 시작 num_epochs = 10 for epoch in range(num_epochs): running_loss = 0.0 for step, (inputs, labels) in enumerate(dataloader): inputs, labels = inputs.to("cuda"), labels.to("cuda") # 모델의 예측값 계산 outputs = model(inputs) loss = criterion(outputs, labels) # 손실 값 그래디언트 축적 loss = loss / accumulation_steps loss.backward() running_loss += loss.item() # 그래디언트 축적 횟수에 도달하면 업데이트 if (step + 1) % accumulation_steps == 0: optimizer.step() optimizer.zero_grad() epoch_loss = running_loss / len(dataloader) print(f"Epoch [{epoch + 1}/{num_epochs}], Loss: {epoch_loss:.4f}")
위 코드는 그래디언트를 4번 축적한 후에 업데이트하는 예시입니다. 데이터셋과 모델은 간단한 예시를 위해 임의로 설정하였으며, 실제 사용 시에는 적절한 데이터셋과 모델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. accumulation_steps 변수를 조절하여 그래디언트 축적 횟수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.반응형'Machine Learn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LLM Model을 가정 GPU에서 사용하는 방법 - Quantization 방법론 - GPTQ (1) 2023.07.28 Llama 2 설명 및 ChatGPT를 활용한 논문 요약 (0) 2023.07.19 (object detection)YOLOv5 학습예제(마스크데이터셋) (4) 2021.06.23 사이킷런(sklearn)을 이용한 머신러닝 - 4 (분류) (0) 2021.03.13 사이킷런(sklearn)을 이용한 머신러닝 - 3 (군집,분류) (0) 2021.03.12